DRS는 Drag Reduction system 의 줄임말이다.
DRS라고 줄여서 영어로 말하니까 뭔가 대단한 것처럼 보이는데, 사실 전혀 대단한게 아니다.
엄청 단순한 시스템이다.
F1의 머신들은 시속 300KM의 빠른 속도로 달리면서도
주행의 안정성과 돌발상황에 대한 대처를 위해 항력(다운포스)을 최대화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머신 앞부분에 프론트윙도 달고,
무게중심도 아래로 쏠리게 만들고,
뒷부분에 리어윙도 달고…
어떤 방법으로든 다운포스를 극대화하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F1 머신의 다운포스라는게
‘이론상으로 F1 머신을 천장에 달라붙어 달릴 수 있게 할 정도’로 엄청나게 크다보니,
곡선주로에서는 주행 안정성에 도움이 되지만 직선주로에서는 오히려 속도 면에서 손해가 발생한다.
직선주로에서 빠르게 밟아야하는 상황인데 다운포스가 머신을 질질 끄는 효과를 내어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이다.
이를 표현한 영어 단어가 Drag(질질 끌다)이다.
그러면 DRS(drag reduction system)은 뭔지 대충 감이 온다.
다운포스를 줄일 수 있게 무엇인가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F1 머신들은 다운포스를 일시적으로 줄이고 속도를 높이기 위해
리어윙의 비스듬한 부분을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위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공기는 리어윙과 부딪히지 않고 그냥 흐르듯이 지나가게 되고,
일시적으로 리어윙이 만드는 다운포스가 사라지며 머신이 질질 끌리는 현상이 줄어든다.
그러면 머신은 직선 주로에서 쾌속 주행이 가능해진다.
DRS를 활성화하면 비활성화된 차량에 비해 평균 시속 15KM의 속도 이득이 있다.
이 DRS를 각 팀마다 유도리있게 키고 끌 수 있게 허용했다면,
그냥 모든 팀의 랩타임이 크게 줄어들고 끝났을 일이다.
그런데 FIA는 이 DRS에서 F1의 흥미진진함을 극대화할 방법을 찾아냈으니,
바로 DRS를 추월 용도로만 쓰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F1 규정집에서 명시한 DRS 활성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각 서킷의 미리 지정된 DRS존에 두 대의 머신이 진입한 상황에서
2. 두 차의 랩타임 차이가 1초보다 작을 경우, 뒤에 있는 머신만 DRS를 수 초 동안 활성화할 수 있다.
3. 경기 시작 후 2랩동안은 사용할 수 없다.
4. 세이프티카, 옐로우 플래그 발령 후에도 2랩동안 사용이 불가능하다.
5. 버츄얼 세이프티카 상황에서는 상황 종료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첫 두줄을 보면 알겠지만, 뒤에서 추월하는 차량만 웃을 수 있는 규정이다.
이 규정때문에 F1에서는 직선주로 추월이 더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현 F1 경기의 추월의 대부분은 이 직선 DRS존에서 일어난다.
워낙 DRS의 영향력이 막강하다보니,
“DRS 활성화 = 추월 확정”일 정도로 추월하는 차량에게 지나치게 유리한 규정이다.
그래서 이 DRS 시스템에 대해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실력따라 추월하는게 아니라 DRS를 키고 추월하는게 실력 있어보이지는 않으니까.
'F1' 카테고리의 다른 글
F1 용어사전 - 타이어의 정확한 분류 (0) | 2020.12.19 |
---|---|
F1 용어사전 - 타이어 블리스터링 (0) | 2020.12.19 |
F1 용어사전 - KERS, ERS (0) | 2020.12.19 |
F1 용어사전 - 페이 드라이버 (0) | 2020.12.19 |
F1 용어사전 - 더블스택 (0) | 2020.12.19 |